d-day 52
D
+
52
<소리 넥스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지원하는 ‘장르별 시장 거점화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신체와 정신의 훈련을 통해 전통음악의 어법을 익힌 동시대 음악가의 음악 작품을 한국 너머로 전달하여 음악가의 파급력을 넓히고자 하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보통 시장에서는 ‘유통’이라는 개념으로 이해되는데, 유통은 단순히 복제된 상품을 이동시키는 행위를 넘어 생산과 소비의 ‘연결’과 각 단계 이해관계자의 ‘교환’과 ‘분배’를 아우른다. ‘연결’과 ‘교환’, ‘분배’는 단순히 산업만을 위한 용어가 아니며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음악의 유통에서도 ‘연결(connect)’, ‘교환(exchange)’, ‘분배(distribution)’를 경제적 관점이 아닌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가치를 매길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소리 넥스트는 ‘음악’이라는 인문 영역과 ‘마켓’이라는 경제 영역을 아우르는 성취의 좌표를 찾으려는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음악 쇼케이스의 성패는 일반 기업 전시와는 다르다. 상품 고유의 기능과 성능은 무용하고 현장을 찾은 이해관계자와의 고차원적 ‘연결’을 통한 파급력이 작품의 차 단계 진입에 큰 영향을 미친다. 8월 13일에서 8월 15일까지 3일간 이어진 쇼케이스는 현장을 찾은 사람들이 음악 공연을 통해 공감하고 연결될 수 있는 최선의 환경을 조성했다고 볼 수 있다. 8월 13일에는 지금 시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HAEPAARY와 추다혜차지스를 각각 오프닝과 클로징으로 두고 새롭게 미적 지평을 탐색하는 예술가 조선아와 공상을 ‘소리 프론티어’ 시간으로 배정했다. 다음날에는 소리 프론티어로 우리음악집단 소옥과 시나비를 기존 아티스트인 그레이바이실버, 반도, 잠비나이, 64크사나 사이에 배치했다. 기성 뮤지션의 공연 사이에 신인 뮤지션을 배정하겠다는 결정 뒤에는 위험 요소가 있다. 기획단에 의해 추천되고 섭외된 ‘소리 초이스’의 공연과 공모와 심사를 통해 선정된 신인 발굴 프로젝트 ‘소리 프론티어’를 두고 대개는 비교를 통한 공연의 질적 차이만 머릿속에 남기 때문인데, 올해 소리 넥스트의 공연 구성에서는 공간, 시간, 스타일이 고려된 타임테이블 구성으로 비교보다는 흐름에 집중할 수 있었고, 흐름이 자연스러워짐에 따라 모든 아티스트가 시너지 효과를 누렸다고 볼 수 있겠다. 이 여운은 다음날로 이어져 전북도립미술관 내 미지의 섬과 같은 공간인 웰컴 라운지에서 첼로가야금과 힐금의 공연이 열리며 주변 환경과 훌륭한 조화를 이뤘다.
음악 마켓에서는 공연을 통한 감각적 ‘연결’도 중요하지만 통찰력을 위한 서로 간의 탐색과 토의 역시 중요하다. 올해 소리 넥스트에서는 3회의 소리토크도 열렸는데 ‘전통음악 기반의 새로운 음악들’, ‘아시아 음악 생태계의 연결과 확장’, ‘전통예술 해외진출 모델과 전환과 전략’을 주제로 각자의 의견을 나누었다. 앞서 말했듯 연결과 교환과 분배는 소통 없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우리의 시야를 넓히고 귀를 늘이는 순간적 카타르시스를 이런 토크 세션에서 경험할 수 있다.
올해 소리 넥스트에는 8인의 해외 델리게이트와 10인의 국내 델리게이트가 참석했다. 모두 음악 공연계에서 내로라하는 경력을 자랑하는 전문가들이다. ‘유통’의 관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들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소리 넥스트’의 음악을 만날 수 있었다는 점, 공통의 경험을 통해 교환만을 위한 평가가 아닌 상호가 문화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다가올 미래의 새로운 흔적을 함께 새겼다는 점에서 소리 넥스트의 핵심 가치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이수정 DMZ 피스트레인뮤직페스티벌 예술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