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하기
프로그램명
 
일시
신청자명
연락처
- -
예약인원
비밀번호
(4자리)
예약하기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사전예약 완료
 
예약확인은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나의 사전예약 검색
신청자명
연락처
- -
비밀번호
(4자리)
검색
안내사항

사전예약 시 입력하셨던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4자리)로 신청내역 검색이 가능합니다.

신청 취소는 예약 마감일(10월05일)까지 가능하며 수정 시에는 인원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청자명 또는 연락처 수정 시에는 삭제 후 다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ENG

 

언론 속 소리

[전북중앙] '_잇다'··· 전주세계소리축제 공식 포스터 공개
관리자 | 2020-07-03 09:22:35 | 987

2020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올해 축제 공식 포스터를 공개했다.


올해 소리축제의 주제는 '_잇다(Link)'로 지난해 관악기에 이어 현악기를 주요 소재로 한다.

또 현악기의 특징인 ‘줄’ 과 ‘이음’을 모티브로 ‘연결’, ‘연대’의 의미를 담는다. 소리축제는 공식 포스터에 이런 주제와 의미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해 담고자 했다.

중앙의 서로 맞잡은 두 개의 원은 소리와 사람, 전통과 미래가 이어지는 축제의 연결, 포용의 가치를 나타낸다. 원을 연결하고 있는 선은 현악기를 직접적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소리의 울림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맞잡은 두 개의 원의 이미지 확장을 통해 예술적 연결과 융합, 소리의 음률과 화합 등 축제가 창조하는 시너지 효과를 표현한다. 


코로나19로 맞이한 언택트 시대에 현장 공연이 중단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축제와 문화예술을 통한 ‘연결’의 가치, ‘연대’의 의미를 지속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파랑 계열의 색상은 연대감과 행복, 심홍 계열의 색상은 안정감과 포용을 키워드로 표현한다. 보라색은 풍부한 감수성과 예술성, 민트색은 청량하고 젊은 이미지를 상징한다.

더불어 올해는 조형미가 느껴질 수 있도록 새롭게 디자인된 서체가 눈에 띈다. 특히 서체의 ‘모음’부분은 전주 지역의 특색인 한옥의 기와를 모티브로 했으며 동시에 음표를 형상화했다.

직선과 곡선의 적절한 조합으로 선명하면서도 딱딱하지 않은 느낌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편 소리축제는 오는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다.

오는 16일 프로그램 발표회를 통해 축제 콘셉트와 방향, 주요 프로그램을 공개할 예정이다. / 조석창 기자


[기사원문보기] http://www.j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3191#092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