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SITEMAP
닫기
통합검색
닫기
중회의장
찾아가는소리축제 & 아카데미 :글로컬랩(Musiccaravan&GlocalLab)
[소리학술포럼] 한국공연문화학회

180분

무료

전체관람가

  • 기간 2025-08-14 ~ 2025-08-14
  • 장소 중회의장
  • 시간 14:00 ~ 17:00
  • 연령 전체관람가
  • 티켓가격 무료
공연소개

한국공연예술의 디아스포라적 속성과 현상


본 세션에서는 한국공연예술의 디아스포라적 속성이 다양한 국가나 공간에서 발현되는 양상에 주목하는 논의들이 다채로운 장르를 대상으로 진행될 것이다. 1. 해방 이후 일본에 남은 조선인들이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의 주역이 된 과정을 조명하며, 2. 국내에서 학습하여 해외에서 활동하는 사물놀이 예술가들의 성과를 진단한다. 3. 한국 무속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을 탐구하며, 4. 카자흐스탄 고려극장의 아리랑 가무단에 의해 수행된 최승희 작품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춤의 문화적 변용과 기억의 전승 양상을 분석한다.

프로그램

발제1. 재일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음악 / 유영민(전북대학교 강사)

해방 이후 일본에 남은 조선인들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의 주역이 된다. 분단된 조국의 역사와 함께 역동적 변화를 겪은 재일 코리안 음악 문화를 조명한다.


발제2.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본 사물놀이의 세계화와 문화적 재구성 / 정재호(사물놀이연구소 대표)

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물놀이 예술가, 동호인의 실태 분석을 통한 사물놀이의 국제적 성과와 영향 연구(미국, 독일, 일본, 루마니아 등)


발제3. 문화적 디아스포라로서의 혼종적 창작 무속 - 추다혜차지스를 중심으로 / 이사랑(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한국예술에서 ‘무속’은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을 지닌다. 이것이 연행자의 주체적 실천인지 또는 타자의 시선에 의해 규정된 ‘전통’으로 각색된 것인지 묻는다.


발제4. 최승희 춤의 초국가적 문화교류와 디아스포라적 재구성: 카자흐스탄 아리랑 가무단의 <물동이 춤>의 사례연구 / 양민아(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

최승희에 의해 창작된 <샘물터에서> 또는 <물동이춤>은1950년대소비에트 고려인 사회에 전파되어 디아스포라적 맥락 속에서 재창조되었다. 본 발표는카자흐스탄 고려극장의 아리랑 가무단에 의해 수행된 최승희 춤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이 작품의 안무와 표현 양식이 어떻게 변형·적응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디아스포라 예술의 전승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기억, 정체성, 정치적 환경이 교차하는 복합적 창조 행위임을 밝히고자 한다.

출연진
발제자 유영민
∙ 전북대학교 강사
발제자 정재호
∙ 사물놀이연구소 대표
발제자 이사랑
∙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발제자 양민아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
토론자 김성철
∙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토론자 주영호
∙ 청배연희단 대표
토론자 임승범
∙ 국가유산청 조사연구기록과장
토론자 오정은
∙ 이북5도위원회 문화유산위원
진행자 이태화
∙ 고려대학교 초빙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