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SITEMAP
닫기
통합검색
닫기
중회의장
찾아가는소리축제 & 아카데미 :글로컬랩(Musiccaravan&GlocalLab)
[소리학술포럼] 세계음악학회

180분

무료

전체관람가

  • 기간 2025-08-15 ~ 2025-08-15
  • 장소 중회의장
  • 시간 14:00 ~ 17:00
  • 연령 전체관람가
  • 티켓가격 무료
공연소개

공연예술축제의 과제와 미래 글로벌


글로벌화라는 단어가 우리 사회에 정착, 일상화된 것도 이미 오래전이다. 각국의 문화가 대양의 해류처럼 흐르며 섞이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세계음악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음악의 세계적 흐름과 국내 세계음악의 실태를 점검해 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이 학술대회에서는 글로벌적 시각에서의 세계음악의 흐름, 국내에서의 세계음악 연행 양상을 조망하고 우리가 실천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프로그램

발제1. 미국의 다양한 음악축제의 참여관찰을 통해 인지한 축제의 진정한 가치 / 박미경(계명대학교 명예교수)

월드뮤직, 전통음악, 동시대음악, 타문화음악, 타자의 음악, 다문화 음악, 디아스포라, 비서구, 무문자, 구전, 구비전승, 이들은 서양예술음악을 제외한 인류의 모든 음악을 '세계음악'이라는 쉬운 통칭으로 감아쥐면서 학술적 연구대상으로 보고 그 실체를 이해해 보는 것은 아닌가. 그 과제를 가지고 사유의 시작점에서 나아가는 길은 국악과 서양음악을 제외한 음악종류를 꼽아보는 일로 정형화되지 않는다. 세계음악이나 공연예술을 대상으로 여는 축제의 끝 모르는 방향의 추구에서 깊은 안목과 감동의 성취가 무대 위와 아래에 분리되어 쉽게 얻어질 수 있을까. 무대 위의 공연예술이라는 명칭의 도구가 진정 축제의 핵심이 될 수 있는 것인가, 기대치 않은 축제 현장을 방문하면서 얻는 놀라운 감동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를 묻고 싶게 한다.  


발제2. 박지하의 소리세계와 세계 소리현장의 조우가 함축하는 문화적 의미 논의 / 김희진(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박지하는 그의 음악이 ‘그냥’ 음악으로 이해되기를 바란다. 피리와 몇몇 국악기를 연주하는 박지하가, 클라리넷 등 국악의 경계를 벗어난 악기를 연주하는 음악인들과 공연하고 음악 축제를 비롯한 세계의 다양한 음악 현장에서 수년간 활동하면서 자신의 음악을 스스로 ‘그냥’ 음악으로 지칭하기까지, 그 과정을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그의 음악에 대한 국내외의 반응과 함께 그가 말하는 ‘그냥’ 음악의 의미를 검토하여, 박지하의 소리 세계와 세계 소리 현장의 조우가 함축하는 문화적 의미를 논의한다.


발제3. 국내 축제 속의 세계음악: 그 뿌리와 성장 / 김칠두(더 블루음악학원 원장)

현재 국내에는 많은 축제들이 열리고 있으며, 그 속에는 국내 음악들을 비롯, 다양한 외국 음악들이 연행되고 있다. 다문화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축제에서 연행되고 있는 외국음악들이 지닌 의미를 돌아보고 그것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어떻게 정착되고 있는지 그 성장 과정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발제4. 한국 재즈 축제의 성장, 어느 방향으로 갈 것인가 / 김승민(세계음악학회 이사)

국내 재즈 축제는 ‘불모지’라 불리던 환경 속에서 점진적으로 성장해 왔다. 대표적인 사례인 자라섬재즈페스티벌은 세계적 아티스트 초청, 향유층 확대, 지역 네트워크의 활용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독자적인 축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 재즈 축제가 과연 ‘어떤 재즈’를 지향하는지, 그리고 어떤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유효하다. 본 논문은 한국 재즈 축제의 성장 과정 속에서 나타난 음악적 유형, 사회적 메시지, 기획 구조 등 제반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재즈라는 예술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한국적 맥락에 걸맞은 방향성과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 재즈 축제가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를 논의의 주요 과제로 삼는다.

출연진
발제자 박미경
∙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발제자 김희진
∙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발제자 김칠두
∙ 더 블루음악학원 원장
발제자 김승민
∙ 세계음악학회 이사
토론자 장윤희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연구원
토론자 정서은
∙ 경북대학교 외래강사
진행자 권현석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연구원